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041-570-2114
첫 방문고객 전화예약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상담원을
통해 진료예약을 도와드립니다.

전화예약 신청
진료예약
상담전화
1577-7523
의료진 / 진료과 안내

인간사랑을 실천하는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전문의료진과 진료과를 소개합니다.

순천향매거진
독립운동가 후손 뇌졸중 입원·재활치료 무상 지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병원장 이문수)이 최근 뇌졸중 후 재활이 필요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에게 무상 치료를 제공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주변에 훈훈한 감동을 전하고 있다.   순천향대천안병원에 따르면 영화 '놈놈놈'의 모티브가 된 15만원 탈취 사건의 주역인 독립운동가 최봉설의 손녀, 최 류드밀라(71세, 여)씨의 입원 및 재활치료를 지원했다고 3일 밝혔다.   카자흐스탄 국적의 고려인인 최 씨는 올해 2월 뇌졸중이 발병했다. 신체 오른쪽 마비로 인한 보행장애와 팔다리 저림, 감각장애 등의 후유증이 있었으나, 카자흐스탄 현지의 의료인프라 부족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최 씨는 한국에 거주하는 자녀의 권유로 올해 5월 입국했다. 그러나 외국인 신분으로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 경제적인 부담으로 제대로 된 치료를 받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였다.   (사)굿네이버스 인터네셔날은 최 씨를 돕기 위해 순천향대천안병원에 지원을 요청했고, 병원은 국가지정 충남 유일의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치료 절차에 들어갔다.   주치의는 충남권역 심뇌혈관센터장인 윤석만 교수(신경외과)와 재활치료센터장인 김수아 교수(재활의학과). 6월 9일 신경외과 외래 진료를 시작으로 당일 입원해 6월 27일까지 걷기연습, 근력강화훈련, 물리치료 및 근육긴장도 조절훈련 등 강도 높은 재활치료가 이뤄졌다.   처음 진료에서 보행기를 통해 걷던 최 씨의 상태는 점점 나아졌다. 근육에 힘이 생기고, 우측 손과 발을 스스로 들고, 보행기 없이도 화장실에 혼자 다녀올 정도로 회복됐다.   재활의학과 김수아 교수는 ”입원기간 동안 훈련에 잘 따라줘 완벽하진 않아도 놀라운 회복력을 보였다“면서, ”병원에서 받은 훈련을 잘 기억해 일상에서 연습하고 실천하면 더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류드밀라씨는 “더 많이 회복돼 딸과 손주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주는 게 바램이다”는 희망을 전하며, “언어와 국적이 달라 힘들었을텐데 늘 친절하게 웃으면서 최선을 다해 준 의료진에게 깊은 감동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문수 병원장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의료강국으로 자리매김한 배경에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광복 80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에 환자 치료를 도울 수 있어 영광이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열들의 땀과 희생을 늘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2025-07-03
지도 건너뛰기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우)31151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순천향6길 31
안내전화 : 1577-7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