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부
2024년 임상간호 연구 | |
---|---|
별관2B병동 |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근무 환경과 재직의도와의 관계 |
별관3B병동 |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 역할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신관3병동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서 수술 및 시술환자간호 시 간호사가 느끼는 업무부담감 직무 스트레스 비교분석 |
본관6병동 | 소화기내과 일반병동 간호사들의 펜데믹 상황의 코로나 19 중증환자를 간호한 경험 |
외래 |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서 권역심뇌혈관질환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LDL-콜레스테롤 수치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23년 임상간호 연구 | |
---|---|
별관3A병동 | 임상 간호사의 공유리더십과 간호 조직문화가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별관6병동 |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 공감 피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단기병동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소진, 조직몰입,근무환경이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MICU |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지 및 수행도의 관계 |
회복실 | 종합병원 마취회복간호사의 의료인 간 의사소통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 |
2022년 임상간호 연구 | |
---|---|
EICU | Covid-19 1차 대유행 시 확진 경험이 있는 중환자실간호사의 Covid-19 중증환자 환자경험 : 환자간호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
NICU |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 인간중심의 의사소통, 공감피로도가 인간중심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별관2A병동 |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말기 암 환자 간호 경험 |
별관5병동 | Covid-19 유행에 따른 간호사의 피로도, 불안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신관5병동 | 신규 간호사의 회복 탄력성과 조직 몰입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1년 임상간호 연구 | |
---|---|
AKR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지식과 피로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별관1병동 | 대학병원 일개 병동의 간호 전달 체계 모색 : 사례연구 |
본관2병동 | 임상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례 |
SICU | 신규 간호사의 지각된 프리셉터의 지도 유형과 행동 유형에 따른 임상 업무수행능력과 이직 의도 |
분만실 | 간호사의 모애착, 부애착, 조직 적응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0년 임상간호 연구 | |
---|---|
수술실 |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성인 애착 유형 및 조직 몰입 비교 |
본관3병동 | 전담간호사의 이미지, 역할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본관5병동 | 병원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지각 차이가 환자경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신관2병동 | 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 역할 인식, 소진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별관7병동 | 병원 간호사의 자기 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연도 | 논문제목 | 부서 | 비고 |
---|---|---|---|
2015년 | 고령환자의 대퇴 전자간 골절 후 섬망발생 위험요인 분석연구 | 본관3병동 | |
교대 근무를 하는 기혼 간호사의 피로감과 성기능에 대한 연구 | 본관5병동 |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역량이 간호 업무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신관2병동 | ||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이 직무만족도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별관7병동 |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프로토콜 개발 | 수술실 | ||
2016년 | 뇌출혈 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 | 본관2병동 | |
노인의 흡인성 폐렴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예방간호 이행도와의 관계 | 별관1병동 | ||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경험이 조직몰입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1중환자실 | ||
상기 종합병원에 입원중인 조기 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 분만실 | ||
혈액투석환자의 하지불안증후군,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 인공신장센터 | ||
2017년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 별관2A,B병동 | |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 | 신관5병동 |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태도와 사건보고가 환자 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별관5병동 | ||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과 이직의도 비교 | 응급중환자실 | ||
신생아중환자실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및 양육지식이 양육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신생아중환자실 | ||
2018년 | 입원아동 어머니의 부담감과 간호사 파트너십이 간호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별관6병동 | |
교대근무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별관3A병동 | ||
3교대 근무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도와의 상관관계 | 회복실 | ||
관상동맥질환의 질환인식, 대처, 건강행위 이행간의 관계 | 단기병동 | ||
2019년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조건과 근무환경, 전문직 삶의 질 비교 | 별관2B병동 | |
간호사의 병동안전문화 인식과 항암제 안전지침 지식이 항암제 안전지침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 별관3B병동 | ||
간호사의 조직문화, 직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본관6병동 | ||
골절 수술환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신관3병동 | ||
병원 간호사의 역할 갈등과 공감 만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외래 | ||
경력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신규간호사 역량간의 관계 | 내과계중환자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