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search form

추천검색어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순천향대학교부속 서울병원 02-709-9000
진료과/의료진
이용안내
건강정보
진료차트
병원소개
고객센터

건강정보

혈액질환의 궁극적 치료, 조혈모세포이식


혈액질환의 궁극적 치료, 조혈모세포이식



김경하교수


흔히 이식에 대해 이야기하면 간이식, 콩팥이식 등의 장기이식을 떠올리곤 한다. 그러나 골수이식은 아직 생소하고, 게다가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하면 더 어려운 느낌이다. 혹자는 수술을 떠올리기도 한다.


여기서 조혈모세포란 ‘피를 만드는 어머니 세포’를 뜻하며, 골수, 혈액, 제대혈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조혈모세포이식에 필요한 조혈모세포는 이 세 곳 중 하나로부터 얻는다. 예전에는 주로 골수에서 직접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였기 때문에 ‘골수이식’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했다.


동종 이식 → 공여자 검색 → 공여자 조혈모세포 채집 → 전처치(고용량 항암요법) → 조혈모 세포 주입 → 이식 후 추적 관찰 ,자가 이식 → 본인 조혈모세포 채집 → 냉동보관 본인 조혈모세포 해동 → 조혈모 세포 주입 → 이식 후 추적 관찰


최근에는 말초혈액에서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이식을 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기 때문에 ‘조혈모세포이식’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지난 몇 주간에 저자가 칼럼 주제로 다루었던 백혈병, 림프종, 다발골수종 등의 혈액 질환 치료 중 가장 강도가 높은 치료이자 궁극적인 치료이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일반적인 장기 이식과는 달리 이식을 하기 전에 전 처치로 고용량의 항암요법과 전신방사선치료 등을 시행한다.


이 전처치의 목적은 남아있는 암세포를 모두 제거하고 환자의 골수를 완전히 비우는 것이다. 그런 다음 이 빈 자리에 자신이나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고 이 세포들이 환자의 골수에 자리를 잡고 정상적으로 조혈능력을 회복하는 ‘생착’을 기다린다.


이 기간은 보통 약 2~4 주 정도가 소요되며, 이 전체의 과정을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한다. (그림) 이때 조혈모세포를 주는 사람이(공여자) 자신이면 자가이식, 타인이면 동종이식이라고 한다. 
참고로 자가이식은 환자 본인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지만 동종이식에서는 적당한 공여자를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환자와 조직적합항원 (‘HLA’라 부름)이 일치해야 공여자가 될 수 있다. 일차적으로는 형제, 자매, 남매에서 찾는다. 같은 부모를 가진 자녀들 사이서 HLA가 일치할 확률은 25% 이다. 혈연간 HLA 가 일치하는 공여자가 없을 때 기증을 서약한 타인 중에서 공여자를 찾게 된다. HLA가 일치하는 타인마저 없는 경우에는 제대혈이나 반만 일치하는 부모자식 간의 이식을 고려하게 된다.


다시 치료 과정을 살펴보면, 조혈모세포 주입 후 생착이 되기 전까지의 기간은 혈액세포 감소로 인한 감염, 출혈, 오심, 구토, 구내염, 설사 등의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서 환자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시기이다. 이 기간에 환자는 무균실에서 부작용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중적인 치료를 받게 된다.


또 다른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동종이식에서 주로 나타나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있다. 이것은 공여자의 면역세포가 환자의 몸을 공격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면역억제를 투약한다.


이와 같이 조혈모세포이식에는 공여자를 찾게 되는 행운과, 부작용을 견뎌낼 수 있는 환자의 인내와 의지, 환자와 함께 하는 치료자의 정성과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