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열 예방접종
위치 안내
- 모자보건센터 1층 국제진료센터/문의전화: 02-709-9000(단체 예약 가능)
운영시간
구분 |
오전 |
오후 |
평일 |
9:00~11:30 |
13:30~16:00 |
토요일 |
9:00~11:30 |
휴무 |
일요일 및 공휴일 |
휴무 |
휴무 |
접종순서
① 예약: 전화예약 02-709-9000(단체 예약 가능)
② 방문 및 서류제출: 국제진료센터, 예진표 작성(수입인지 및 여권사본 지참 필수)
③ 진료: 주치의와 진료상담
④ 접종: 서별관 2층 주사실 방문 및 접종
⑤ 수납: 진료비 수납
⑥ 증명서 수령: 국제진료센터 재방문 및 증명서(옐로카드) 수령
(★증명서 정보와 여권 정보가 동일한 지 확인 필요★)
⑦ 귀가
전자수입인지 안내
구분 |
금액 |
접종 |
1매(37,440원) |
증명서 재발급 |
1매(1,000원) |
* 전자수입인지는 황열 주사금액으로서, 진찰료는 별도 발생함을 알려드립니다.*
① 온라인 구매 : https://www.e-revenuestamp.or.kr/index.do
- 종이문서용 전자수입인지, 행정수수료용으로 구매
- 구매 후 출력 (병원 방문시 필수 지참)
② 오프라인 구매 : 가까운 은행이나 우체국(신분증 지참 필수, 현금구매만 가능)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재발급 안내
- 오프라인 : 접종 병원 혹은 각 지역별 검역소 방문(방문전, 전화 확인 필수)
지참서류 : 여권, 수입인지 1,000원
- 온라인 : 정부24
(https://www.gov.kr/main?a=AA020InfoCappViewApp&HighCtgCD=A07004&CappBizCD=14600000008),
등기수령 (평균 2~3일 소요)
주의 및 금기사항(질병관리청 국립검역소)
① 접종 불가 대상자
- 영유아는 9개월 전까지 예방접종을 피며, 특히, 6개월 미만의 경우 백신 사용 금기
- 계란이나 젤라틴에 과민반응이 있는 자
② 예방접종 전 반드시 진료상담을 해야 할 대상자
임산부, 수유 중에 있는 여성 및 60세 이상인 노인 및 HIV 감염자, 악성종양자 등 대상자
③ 황열 예방백신은 접종 후 10일(항체형성 기간)부터 예방접종 효력이 발생(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출국 필요)
① 9개월 미만의 영아는 백신으로 인한 뇌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9개월이 될 때까지 예방접종을 피하도록 하며,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백신 사용이 금기됩니다.
② 60세 이상의 노인들은 접종 후 전신이상반응에 따른 위험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의 후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③ 임산부는 황열 노출의 위험이 높을 때에만 예방접종을 하도록 합니다. 만약, 임산부가 예방접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기록되는 혈청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④ 수유 중에 있는 여성은 젖먹이 아이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으므로 예방접종을 피해야 합니다.
⑤ 계란이나 젤라틴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은 백신 사용이 금기됩니다.
⑥ HIV 감염자, 악성종양자, 흉선질환자 또는 기타 면역저하질환을 가진 자들은 백신 사용이 금기됩니다. 그러나 금기사항이 없는 면역저하질환자나 HIV환자의 가족들은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⑦ 황열 백신은 홍역백신(생백신, 약독백신)과 동시 투여가 가능합니다.
⑧ 황열 예방백신은 접종 후 10일(항체형성 기간)부터 예방접종 효력이 발생하므로 여행국가 입국 최소 10일 전에 황열예방백신을 접종․기록한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출국하여야 합니다.
⑨ 황열 예방백신에 대한 이상반응은 접종자의 10~30% 정도에서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⑩ 뇌염 등과 같은 신경계 질환은 주로 유아에게서 보고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⑪ 황열 백신과 연관된 내장향성 질환으로 열성다발성기능부전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황열 질병
황열이란?
-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걸리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고열, 두통, 오한, 식욕부진, 황달, 구토, 출혈성 징후, 종종 서맥을 동반하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 국가에서 발생합니다.
감염경로
-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가 원인이며 모기에 물렸을 때 모기의 침 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몸 속으로 들어와 혈액으로 침투하여 질병을 일으킵니다. 주된 매개체는 Aedes aepti(이집트숲모기)와 Haemagogus 속 모기입니다.
증상
- 가벼운 증상으로는 발열과 근육통, 오한, 두통, 식욕상실, 구토 또한 눈, 코, 입,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
황열 감염자의 대부분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가벼운 증상만을 보입니다. 감염 후 3~6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과 근육통, 오한, 두통, 식욕상실,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눈, 코, 입,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신부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